■ 요약
관리자가 설정한 근무시간과 야간근무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연장/야간 시간 내 휴게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,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계산됩니다.
■ 기능
- 연장 근무시간 : 총 근무시간 중 기본과 야간을 제외하고 근로한 시간
- 야간 근무시간 : 관리자가 설정한 야간 근무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
<예시 : 다음과 같이 설정한 경우 근무시간에 따른 산정시간>
근무요일 | 월~금 |
근무시간 | 09:00 ~ 18:00 |
야간근무시간 | 22:00 ~ 06:00 |
휴게시간 | 12:00 ~ 13:00 |
① 근무요일에 07:00 ~ 20:00 근무 시
- 연장근무시간 : 4h (07:00 ~ 09:00, 18:00 ~ 20:00)
② 근무요일에 09:00 ~ 익일 3:00 근무 시
- 연장근무시간 : 4h (18:00 ~ 22:00)
- 야간근무시간 : 5h (22:00 ~ 03:00)
③ 근무요일이 아닌 요일에 07:00 ~ 20:00 근로 시
- 휴일 근무로 근무시간이 산정 되지 않습니다.
- 연장근무 신청서 기안 및 결재완료 시 근무시간이 산정되며 승인요청내역에 반영됩니다.
■ 추가사례
① 근태관리에서 연장 및 야간근무 시간이 산정되지 않습니다.
- 자유출퇴근 사용 시 설정된 근무시간이 없기에 연장/야간근무시간이 계산되지 않습니다.
② 자유출퇴근제를 사용하지 않는데, 연장 및 야간근무 시간이 산정 되지 않습니다.
- 관리자가 [근무시간 산정 기준 설정]에서 근무시간 외에 계산되지 않도록 설정하였을 경우 계산되지 않습니다.
③ 일요일이 근무요일일 경우 근무시간이 계산되나요?
- 일요일은 근무요일이라고 할지라도, 법적 공휴일로 근무시간이 산정 되지 않습니다.
연장근무 신청서 기안 및 결재완료하여 근무시간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.